본문 바로가기
삼국지

순욱, 일등공신의 끝은 토사구팽 - 삼국지 인물 일대기 2편

by HCHM 2020. 4. 12.
반응형

왕좌지재 순욱의 토사구팽

삼국지 위나라의 초대 황제이자 삼국통일의 기초를 닦은 조조. 하지만 순욱이 없었다면 가능한 일이었을까 싶어요.

아마 이름없이 굴러다니는 돌맹이같은 인물이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데... 삼국지 관련 컨텐츠를 접했기 때문에 한 번쯤 들어봤다 싶은 그런 인물들처럼, 듣기 전까지는 깨닫지 못하고 들어도 알지 못할 수 있는 우리의 기억 속 돌맹이들.

 

 

지금 떠오르는 인물이 있나요? 네 맞아요, 그 얼굴은 어렴풋이 본 거 같은데 이름은 잘 모르겠는 그 사람이요. 평한왕이라던지, 동오 덕왕이라던지...

그래서 사실상 위나라를 세운건 조조가 아니라 순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래서인지 더더욱, 순욱의 삶을 보면 직장생활에 대한 생각에... 힘이 빠져요. 충성을 다하는 직장생활은 순욱의 인생과 많이 닮아있을 것 같은 느낌...?

 


엘리트 인재

순욱의 할아버지 순숙은 성악설로 알려진 그 유명한 순자의 11대손이며, 순욱의 아버지 순곤은 순가팔룡이라하여, 순씨 집안 여덟 형제라 불리며 그 뛰어난 재능과 명망으로 유명했던 사람이에요.

그리고 그 뼈대있는 가문의 순욱도 어린시절부터 마을에서 신동으로 유명했는데, 어느 날은 남양의 명사 하옹이란 사람이 이런 순욱의 잠재력을 알아보고서는 "왕을 보좌할 수 있는 재능을 가지고 있구나."라고 했다해요. 이 시절 인물평이란 것이 현시대의 이력서와 같은 역할을 할 정도로 중요하고 의미있는 것이었는데, 이것이 순욱의 별명


왕좌지재

:임금 왕 :도울 좌 :어조사 지 :재주 재

: 왕을 도울 수 있는 재주. 즉 왕을 보필한 만한 재능 또는 그런 재능을 지닌 인재.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것에 더해 완전 엘리트 코스만 밟은 최고의 인재인 셈이죠. 그리고 이런 순욱을 수하로 맞아들이게 된 조조 역시 한나라의 개국공신 장량에 비유하며, "나의 장자방이로다." 라며 엄청 기뻐했다 하는데, 유방의 믿고쓰는 네비게이션 장량에 비유한만큼 순욱에 대한 믿음도 절대적이었단 것을 알 수 있는 말이 있어요.

이순(二荀)이 논한 사람은 더욱 믿을 만하다. 나는 영원히 그것을 잊지 못할 것이다.

여기서 이순이란 순욱과 순유 두 사람을 뜻하는 말인데, 순욱의 7촌 조카인 순유도 순욱이 추천해준 인재이며, 다른 인재들도 또한 모두 정말로 뛰어난 인물이어서 공경의 반열에 오른 사람만 10명이 넘었다고 하죠.

작은 일 하나조차 혼자 하기 힘든 세상에 믿고 쓸 수 있는 인재를 줄줄이 데리고 온다는 것은, 그 어떤 것보다도 큰 선물일거에요. 

토사구팽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중국 한나라의 창업공신이라고 할 수 있는 한신때문에 더 유명해졋다고 생각하는데요. 말도 안되는 것 같은 트집을 잡혀 숙청당하며 한탄했다하죠.

과연 사람들이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좋은 사냥개가 삶겨진다라 한 것과 같구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