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괄목상대는 직역하면 '눈을 비비고 다시 본다'는 뜻을 가졌지만, 속뜻은 '상대방의 학식이나 재주가 몰라볼 정도로 성장했다'는 뜻입니다. 이런 뜻을 가지게 된 것은 유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유래는 삼국지에 나오는 '여몽'이란 인물입니다.
삼국지, 여몽의 괄목상대
삼국지에 등장하는 여몽이란 인물은 단지 흙수저 무장에 지나지 않았지만, 후에 나라를 이끌어가는 중심이 될 정도로 성장하게 됩니다. 당시 오나라의 왕이었던 손권은 여몽이 문무를 겸비하기를 바라여 학문을 할 것을 권했지만, 여몽은 군사 일이 바빠서 시간이 없다고 합니다. 그러자 손권은 "왕인 나도 하는데, 네가 나만큼 바빠?"라고 하자 여몽은 비로소 학문을 시작합니다.
여몽은 열심히 글을 읽었고, 그 뜻이 굳건하여 흔들림이 없었기 때문에, 결국 여몽의 주위 사람들은 더 이상 학문으로는 여몽을 이길 수 없을 정도까지 이르렀습니다.
나중에 주유가 죽고 노숙이 주유의 후임으로 임명되어 돌아오게 되었는데, 이때 노숙이 여몽과 대화를 하게 되었고, 여몽에게 감탄하게 됩니다. 노숙이 여몽의 등을 두드리며 말하길,
나는 네가 단지 전략밖에 가지고 있지 않는 줄로 알았는데, 이제 와서 보니 학식은 넓고, 더 이상 이전에 멍청한 여몽이 아니구나.
이에 여몽이 대답한 말이 괄목상대의 유래가 됩니다.
배우는 사람은 헤어진 지 3일이 지나면, 눈을 비빈 후에 다시 만나야 합니다.
반응형
'삼국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의 심장 - 오호대장군, 오자양장, 강동십이호신 (0) | 2021.02.04 |
---|---|
삼국지 인물 일대기, 상산 조자룡 (7) | 2021.01.29 |
순욱, 일등공신의 끝은 토사구팽 - 삼국지 인물 일대기 2편 (0) | 2020.04.12 |
1급수 물 만난 물고기 : 삼고초려와 수어지교의 관계 그리고 뜻과 유래 (2) | 2020.04.02 |
진인사대천명 뜻과 유래 (2) | 2020.04.01 |
댓글